건강

목에 가시 걸렸을 때 주의사항 필독

참이슬 후라쒸 2024. 3. 20. 21:59

다들 생선을 먹다가 한 번씩 목에 가시가 걸린 경험을 하셨을 겁니다. 처음에는 헛기침을 하다가 이때 대부분 다들 당황하여 위험한 민간요법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잘못하면 식도에 아주 큰 상처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절대 해서는 안됩니다. 어떤 행동을 하면 안 되는지에 대해서 주의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목에 가시 걸렸을때 빼는 방법

따뜻한 물 마시고 가글 하기

따뜻한 물은 편도와 식도 주변을 이완시켜서 박힌 가시를 쉽게 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때 가시가 계속 빠지지 않아서 많은 양의 물을 마시게 된다면 추 후 병원에 방문해서 내시경 검사를 했을 때 치료가 쉽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핀셋으로 제거

가시는 대부분 식도로 넘어가기 전인 편도 주변에 걸려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입 안의 가시를 살펴볼 때 편도를 열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아~~"하는 소리를 내어 편도를 열어야 합니다. 핀셋을 사용할 때는 세균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소독을 해주셔야 합니다.  

 

병원 가기

목에 가시가 걸렸을 경우 무슨 병원으로 가야 할지 모르시는 분들이 계실 수도 있습니다.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시면 의사가 내시경을 통해 편도와 식도부근의 상태를 파악할 것입니다. 이때 가시가 너무 깊은 곳에 박혀있을 경우 소화내과에서 위내시경을 시도해야 하는 상황이 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이 행동은 절대 하면 안 됩니다

급하게 밥 한 숟갈 삼키기

옛날부터 어르신들이 흔히 사용하는 아주 유명한 민간요법 중에 하나입니다. 급하다고 해서 밥 한 숟갈을 크게 떠서 삼키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만약 가시가 깊게 박혀있지 않은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비교적 크고 단단한 가시가 목에 박혀있을 경우에 목에 박혀있는 가시가 밥에 밀려서 그대로 쓸려 내려가면서 식도에 아주 큰 손상을 가져다줄 수 있습니다. 

 

식초 마시기

산성을 띄는 식초의 특징을 고려하면 목에 박혀있는 가시가 식초에 의해 녹는다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전혀 근거 없는 사실이며 식도의 산성으로는 녹일 수가 없습니다. 오히려 가시에 의해 상처가 나고 있는 부위를 식초가 강하게 자극시켜서 염증유발과 상처를 덧나게 할 수 있습니다. 

 

자연적으로 빠지게 가만히 내버려두면?

그냥 작은 가시가 박힌 거라 생각하고 가만히 방치하게 될 경우 식도에 염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천공(구멍)이 생길 수 있으므로 즉시 제거하시기를 바랍니다. 식도에 만약에 천공이 생긴다면 구멍을 통해 세균과 각 종 유해물질이 장기까지 퍼지게 될 경우 세균 감염이 되어서 심각하면 패혈증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식도 주변에는 심장과 폐가 위치해 있으므로 더욱 조심하셔야 합니다.